Front/Javascript

연산자 1. Logical operators: || (or), && (and),!(not) : 0, -0, ''(빈값), null, undefined와 같이 값이 비어있으면 false, -1, 'hello', 'false'와 같은 값은 true - || (or) : 주어진 조건 중에 하나라도 true를 만족하면 거기서 실행을 멈춘다. 연산을 많이 하는 함수는 제일 뒤에 배치해야 효율적 const value1 = true; const value2 = 4 nullish coalescing operator ?? 는 null, undefined 일때만 기본값 반환 const usersName1 = name ?? "Guest";..
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(타입) : 값의 종류, 자바스크립트는 7개의 데이터 타입을 가진다. - 데이터 타입이 필요한 이유는 각 타입별 사용되는 메모리가 다르기 때문에, 적절한 메모리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이다. - 동적 타이핑(dynamic typing) : 자바스크립트의 변수는 값의 할당에 의해 타입이 추론되고, 재할당이 가능하므로 동적 타입 언어이다. 원시타입 1️⃣ 숫자 타입 (number) : 모든 수를 실수(*.**)로 처리, +(Infinity(양의 무한대), -Infinity(음의 무한대), NaN(산술 연산 불가)) console.log(1 === 1.0) // true 2️⃣ 문자열 타입 (string) : 0개 이상의 16비트 유니코드 문자(UTF-16)의 집합, '**' / "**..
표현식과 문 값(Value) :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var sum = 10 + 20; // 변수 sum은 10+20이 평가되어 생성된 값 30이 할당됨 리터럴(literal) :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(아라비아 숫자, 알파벳 등)/ 약속된 기호('',"",[],{},// 등)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,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런타임에 리터럴을 평가해 값을 생성함 표현식(exoression) :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(statement), 리터럴, 식별자, 연산자, 함수 호출등의 조합으로 이뤄짐 // 리터럴 표현식 10 "Hello" // 식별자 표현식 (변수값으로 평가) person.name arr[1] sum // 연산자 표현식 10 + 20 sum = 10 // 함수,메서드 호출..
04장 변수 변수(Variable) :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,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, 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 var result = 10 + 20; 새로운 값 (변수 값) 30이 메모리에 저장: 할당(assignment, 대입, 저장) -> result 라는 변수명으로 저장된 메모리를 불러올수 있다:참조(reference) 변수 선언 : 1️⃣ 변수 선언 단계 -> 2️⃣ 초기화 단계: undefined 값이 할당된다. var score; // 변수 선언 호이스팅: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모든 선언문을 런타임(소스코드가 한줄씩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시점) 이전 단계에서 먼저 실행한다.(소스코드 평가 과정) console.log(score); //..
Classes : 동일한 모양의 객체를 더 쉽게 생성하도록 도와주는 문법 필드 : 클래스가 생성할 객체가 갖는 프로퍼티 생성자 :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 (this = 현재 만들고 있는 객체) let memberA = { name: "이마크", grade: "A+", age: 25, chant() { console.log("TO THE WORLD 여긴 NCT"); }, introduce() { console.log("안녕하세요 NCT 입니다."); }, }; class Member { // class 앞 글자는 대문자 //필드 name; grade; age; // 생성자 constructor(name, grade, age) { this.name = name; this.grade = grade; this.a..
akii
'Front/Javascript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2 Page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