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데이터 타입
데이터 타입(타입) : 값의 종류, 자바스크립트는 7개의 데이터 타입을 가진다.
- 데이터 타입이 필요한 이유는 각 타입별 사용되는 메모리가 다르기 때문에, 적절한 메모리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이다.
- 동적 타이핑(dynamic typing) : 자바스크립트의 변수는 값의 할당에 의해 타입이 추론되고, 재할당이 가능하므로 동적 타입 언어이다.
원시타입
1️⃣ 숫자 타입 (number)
: 모든 수를 실수(*.**)로 처리, +(Infinity(양의 무한대), -Infinity(음의 무한대), NaN(산술 연산 불가))
console.log(1 === 1.0) // true
2️⃣ 문자열 타입 (string)
: 0개 이상의 16비트 유니코드 문자(UTF-16)의 집합, '**' / "**" / `**` (따옴표로 감싸서 표현, 공백 포함)
+ 탬플릿 리터럴 : 백틱(``) 사용, 멀티라인 문자열(줄바꿈 가능), 표현식 삽입(`3 = ${1 + 2}`), 태그드 탬플릿 등 기능 제공
const first = 'gil-dong';
const last = 'Hong';
console.log(`His name is ' + fist +' ' + last + `.`)
// His name is gil-dong Hong.
3️⃣ 불리언 타입 (boolean) : 참(true) 과 거짓(false)
4️⃣ undefined 타입 : 선언된 변수에 암묵적으로 할당
5️⃣ null 타입: 값이 없음을 명시
6️⃣ 심벌 타입 (symbol)
: ES6에서 새로 추가된 타입,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의 값
객체타입
: 객체, 함수, 배열 등
const fubao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undefined
fubao = 3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number
fubao = '귀여워'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string
fubao = true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boolean
fubao = null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object
fubao = symbol()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symbol
fubao = {}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object
fubao = []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object
fubao = function() {};
console.log(typeof fubao); // function
반응형
'Front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unction (0) | 2024.02.17 |
---|---|
연산, 반복문 (0) | 2024.02.17 |
Deep Dive: 표현식과 문 (1) | 2023.11.03 |
DeepDive: 변수 (0) | 2023.11.03 |
클래스 (Classes) (0) | 2023.08.23 |